전북가야 소식

도 가야사 복원 전담조직 없어 - 전북일보 2018년 8월 1일
작성자 : 가야문화연구소 전화번호 : 0634698964 작성일 : 2019-02-28 조회수 : 833

 

전북도가 가야사 복원에 나선지 1년여가 지났지만 여전히 전담인력과 조직이 없는 실정이다. 도가 민선 7기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가야사 연구·복원사업과 국가사적 추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등에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1일 도에 따르면 청내에 가야사 연구·복원 사업을 전담하는 인력은 단 1명으로, 향후 도가 계획하고 있는 가야사 프로젝트 사업을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도는 올해부터 2021년까지 남원 아막성·월산리와 청계리 고분군·옥계동 제철유적, 완주 탄현봉수, 진안 대량리 제동유적, 무주 대차리 고분군, 장수 삼봉리·등촌리 고분군, 장수 침령산성, 임실 봉화산 봉수, 순창 합미성 등 11개 유적을 국가사적으로 등재할 계획이다.

특히 제철유적과 봉수유적은 사적 등재에 이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유적들이 사적이나 세계유산으로 등재되면 보수·정비 등의 들어가는 사업비의 70%를 국비로 확보할 수 있다. 도 관계자 A씨는 “한 지역의 유적을 사적으로 신청하기 위해서는 해당자치단체와 계속 논의를 해야 하는 데다 발굴조사·연구계획수립, 사적신청준비 등 여러 가지 준비를 해야 한다”며 “한 사람이 이 모든 업무를 담당하다보면 체계적으로 하기가 어렵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전북가야사 연구용역 준비, 전문가협의회, 국가예산 확보, 특별법 제정 등의 과제도 있다는 게 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도청 내부에서도 전담기구 신설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북 가야 연구 발굴 및 종합정비’는 송하진 도지사의 공약이기도 하다. 도 관계자 B씨는 “가야사 전담업무를 추진할 수 있는 인력확보나 기구가 마련돼야 효과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다”며 “현재 가야사 복원사업과 병행하고 있는 후백제와 백제관련 사업까지 제대로 추진하려면 전담조직이 신설돼야 한다”고 말했다.

경남도와 경북도는 전담팀을 신설한 상태다. 경남도는 지난 1월 19명으로 구성된 ‘가야사연구복원추진단’을 만들었고, 경북도는 4명으로 구성된 ‘가야연구복원담당팀’을 만들었다. 특히 경남도의 ‘가야사연구복원추진단’은 가야사정책담당, 가야사복원담당, 문화재관리담당, 문화재보수담당 등 4개의 팀으로 구성됐다.

 

출처 : 전북일보(http://www.jjan.kr)

 

현재 게시물의 이전글과 다음글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이전글 진안 동향면 대량리 호남 최초 구리 생산유적 확인 - 전북일도 2018년 7월 31일2019-02-28
다음글 전북 가야사 전담조직 빨리 만들어라 - 전북일보 2018년 8월 2일2019-02-28

공공누리KOGL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국립군산대학교 에서 제작한 "전북가야 소식" 저작물은 "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표시 적용 안함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가야문화연구소
  • 담당자 : 박흥수
  • 연락처 : 063-469-8963
  • 최종수정일 : 2019-01-22
국립군산대학교 전북가야 소식 이동 QR코드
페이지만족도평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