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가야 소식

전북가야 실체 규명 1년, 철·봉수의 왕국이 보인다 - 2018년 11월 26일
작성자 : 가야문화연구소 전화번호 : 0634698964 작성일 : 2019-02-28 조회수 : 990

 

전북가야의 실체를 본격적으로 규명하기 시작한 지 1년. 전북가야의 역사는 어디까지 드러났을까?전북가야사 연구·복원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에 ‘가야 문화권 조사·연구와 정비사업’이 포함되면서 시작됐다. 이와 관련 전북도는 지난해 11월 전북가야 선포식을 열고 전북 동부권 7개 시군의 가야 역사를 복원하기로 했다. 문헌이 부족한 만큼 집중적인 발굴조사를 통한 유적과 유물 고증이 우선시됐다. 지난 한 해 투자된 예산은 117억 원. 1982년부터 2017년까지 35년간 투입된 예산 50억 원의 두 배가 넘는 규모다.

그 결과 전북 동부권의 봉수는 90여 개, 제철유적은 250여 개가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국가의 정치·군사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봉수는 고총 못지않게 가야계 왕국의 존재를 반증해주는 고고학 자료로 평가된다. 특히 제철유적은 전북가야 영역에서 최초로 존재를 드러낸 철제초두(다리가 셋 달린 작은 솥)를 중심으로 대부분 철기 유물이 발굴돼 그 다양성을 입증했다.

 

지난 5월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신청 후보로 선정돼 김해 대성동, 함안 말이산, 고령 지산동 고분군 등 기존 유적과 함께 세계유산 등재를 공동 추진하게 됐다.앞선 3월 남원 유곡리·두락리 고분군이 국가사적 제542호로 지정된 것도 나름의 성과다. 그동안 국가사적으로 지정된 가야 유적은 영남가야 유적 26개밖에 없었다. 국가사적 비율이 26대1로 현저히 낮은 만큼 장수 삼봉리·동촌리 고분군, 침령산성 등 전북가야 유적 13개에 대한 국가사적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북가야 유적의 국가사적 지정은 국가 예산 확보와도 연관된 문제다. 현행법상 국비는 국가사적에만 지원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전북도 관계자는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의원(완주·진안·무주·장수)과 공조해 ‘가야문화권 특별법’을 발의할 계획”이라며 “이 특별법에는 비지정 유적에 대한 연구·복원 유적 지정과 국비 지원, 가야역사문화진흥기관 설립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출처 : 전북일보(http://www.jjan.kr)

 

 

현재 게시물의 이전글과 다음글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를 보여주는 표입니다.
이전글 전북 가야 문화 실체 알린다 - 전북일보 11월 22일2019-02-28
다음글 진안역사박물관 특별강연회 개최 - 전북일보 2018년 12월 10일2019-02-28

공공누리KOGL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국립군산대학교 에서 제작한 "전북가야 소식" 저작물은 "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표시 적용 안함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가야문화연구소
  • 담당자 : 박흥수
  • 연락처 : 063-469-8963
  • 최종수정일 : 2019-01-22
국립군산대학교 전북가야 소식 이동 QR코드
페이지만족도평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