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 01월 건축공학심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토목공학심화 자체평가보고서 제출(KEC2005)
제8대 센터장 김용이 교수 임명
2012년
- 01월 건축공학심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 본인증 획득(KEC2005)
- 03월 나노화학공학심화, 토목공학심화 프로그램 인증 획득(KEC2005) 2단계 공학교육혁신센터 지원사업 선정
- 11월 공학교육센터를 공학교육혁신센터로 명칭변경
2011년
- 02월 건축공학심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토목공학심화 자체평가보고서 제출(KEC2005) 제7대 센터장 김동익(공과대학장) 교수 임명
- 05월 건축공학심화, 기계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토목공학심화 프로그램 방문평가 실시(KEC2005)
2010년
- 04월 기계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토목공학심화 프로그램 중간방문평가 실시(KEC2005)
- 12월 기계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토목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 본인증 획득(KEC2005)
2009년
- 01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 본인증 획득(KEC2005)
토목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 예비인증 획득(KEC2005) - 02월 제6대 센터장 이성룡(공과대학장) 교수 임명
- 04월 건축공학심화 프로그램 중간방문평가 실시(KEC2005)
- 12월 건축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 본인증 획득(KEC2005)
2008년
- 01월 건축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 획득(KEC2000)
- 02월 공학인증 중간 방문평가 자체보고서(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KEC2005)
- 05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프로그램 현지 중간방문평가 실시 (KEC2005)
- 07월 공학인증 중간 방문평가 자체보고서(토목공학심화) 제출(KEC2005)
- 09월 토목공학심화 프로그램 중간방문평가 실시(KEC2005)
2007년
- 01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 획득(KEC2000)
제 5대 센터장 나의균(공과대학장)교수 임명 - 02월 공학인증 중간 방문평가 자체보고서(건공공학심화) 신규 방문평가 자체보고서(토목공학 심화) 제출(KEC2005)
2006년
- 03월 건축공학심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 획득(KEC2000)
- 05월 한국형 인증기준에 따른 교과과정 개편 추진(KEC2005)
- 06월 토목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평가 신청서 제출(KEC2005)
공학인증 중간 방문평가 자체보고서(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제출(KEC2005) - 08월 토목공학심화 프로그램 인증평가대상 선정(KEC2005)
- 09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프로그램 중간방문평가 실시(KEC2000)
2005년
- 02월 제3대 센터장 이영욱 교수 임명
- 05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건축공학심화 프로그램 방문평가 실시
- 10월 방문평가 최종보고서 제출(KEC2000)
- 12월 공학교육센터 규정 제정 / 제4대 센터장 문창호(공과대학장)교수 임명
2004년
- 01월 제2대 센터장 김영호 교수 임명
- 02월 공학 인증 전산 프로그램(KNU 학생지원 시스템) 개발
- 03월 공학인증 자체보고서(기계, 건축, 재료, 나노화학) 초본 완성(KEC2000)
- 06월 기계공학심화, 신소재공학심화, 나노화학공학심화, 건축공학심화 프로그램 공학인증평가 신청서 제출
- 07월 공학인증평가대상 대학으로 선정
2003년
- 04월 공학교육센터 설립 / 제1대 센터장 나의균 교수 임명
- 11월 공학인증을 위한 교과과정 개편 완료
- 12월 공학교육운영위원회 규정 제정)
2002년
- 03월 공학인증 도입을 위한 기초조사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