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소개
학생의 교육역량 강화에 최선을 다하며, 입학부터 졸업까지 매 학기 2회 이상 상담을 의무화하여 학생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학력
-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동대학원 석사·박사
주요경력
- 군산문화도시 추진위원장
- 채만식학회 부회장
- 기본소득한국네트워크 이사, 계간 기본소득 편집위원
- 채만식문학상 운영위원장
- 국립군산대학교 교육개발원장, 중앙도서관장
- 한국근대문학회 회장, 한국현대소설학회 회장
- 계간 문학동네 편집위원
수상
- 제 24회 팔봉비평문학상(2013)
- 제 16회 소천 이헌구 비평문학상(2004)
- 제 46회 현대문학상(2002)
단행본
- [문학 그 높고 깊은 – 박범신 문학 연구], 구름서재, 2021(공저)
- [군산학의 지형], 국립군산대학교 인문도시센터, 2019(공저)
- [서울의 인문학], 창비, 2016(공저)
- [한국문학의 유령들], 문학동네, 2012
- [전북의 재발견-문학], 전라북도, 2011(공저)
- [새 민족문학사 강좌 2], 창비, 2009(공저)
- [또 다른 목소리들], 소명출판, 2006
- [한국 근대문학의 정치적 (무)의식], 소명출판, 2005
- [구보가 아직 박태원일 때], 깊은샘, 2004(편저)
- [경이로운 차이들], 문학동네, 2002
- [1970년대 문학연구], 소명출판사, 2000(공저)
- [민족문학사 강좌 하], 창비, 1997(공저)
논문 및 평론
- 「단일한 근대성과 입말의 계보학적 가능성」(서정인, 무자년의 가을 사흘-서정인 대표중단편선, 문학동네, 2021) 해설
- 「위기의 지구와 ‘노나메기’라는 ‘하제’(희망)」, 계간 기본소득8, 2021년 봄호.
- 「코로나19 이후 보게 된 ‘그 꽃’과 기본소득의 마음」, 계간 기본소득7, 2020년 겨울호.
- 「문제는 공생공락이다 - ‘자연의 아들’ 김종철의 지적 여정에 대한 단상」, 계간 기본소득 6, 2020년 가을호(11.3)
- 「묵시록과 대안의 변증법, 혹은 재난 극복의 길」, 계간 기본소득 6, 2020년 가을호.
- 「위태로운 삶과 동행의 힘 - 권여선의 「실버들 천만사」읽기」,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해설, 9.16.
- 「임박한 파국과 출구 – 혹은, 기본소득과 한국문학의 미래」, 문학들, 2020년 가을호.
- 「수치심과 죄책감 사이, 혹은 우리 시대의 윤리」(김영하, 살인자의 기억법, 복복서가, 2020) 해설
- 「불평등 경제라는 잔혹극과 기본소득이라는 구원의 힘」, 계간 기본소득 2020년 여름호.
- 「이미-재난적 상황과 ‘아름다운 나라’라는 꿈」, 계간 기본소득, 2020년 봄호.
- 「묵시록적 징후들과 정치개혁 원리로서의 기본소득」, 계간 기본소득, 2019년 겨울호.
- 「웅크린 나눔의 꿈과 진화하는 적들, 그리고 기본소득이라는 ’적정 정치경제학()」, 계간 기본소득, 2019년 가을호, 2019.10.20.
- 「임박한 파국과 ‘리얼리스트를 위한 유토피아 플랜」, 계간 기본소득, 2019.여름호.
- 「분단극복과 연속성 회복, 혹은 해금 이후 문학사의 두 정향- 한국근대민족문학사(김재용 외)와 한국 현대 현실주의 소설 연구(김윤식)을 중심으로」, 구보학보21, 2019.4.30.
- 「그의 자전, 우리 모두의 실재- 황석영의 수인에 대한 생각 몇」, 문학동네, 2017년 가을호.
- 「샤먼을 바라보는 세 개의 시선- 한국근대문학 속의 샤머니즘, 그리고 임철우」, 한국문학과 샤머니즘, 스페인 말라가 대학 한국문학 세미나, 2017.11.3.
- 「그러므로 문제는 문학이다」, 돈암어문학 32, 2017. 12.
- 「근대의 멜랑콜리와 남근주의적 근대-「과도기」에 대한 단상」, 문예운동, 2016년 여름호.
- 「‘순종하는 신체’와 ‘신체 없는 기관’-현재 한국문학 속의 두 몸」, Korean Literature Now, 2016.9.
- 「‘엄마를 부탁해’에 이르는 길」, 돈암어문연구, 2016.12.
- 「불가능한 것의 요구와 귀향의 힘」(이문열전집 6 해설), 민음사.
- 「탈향의 정치경제학과 미완의 귀향들」, 현대소설연구, 2016.03.
- 「우리는 여전히 사회 속에 살고 있는가 - 김종옥 소설의 징후적 읽기」, 문학동네, 2015년 여름호.
- 「소녀는 인간의 오래된 미래다-박정윤의 목공소녀 읽기」,(박정윤, 목공소녀, 자음과모음, 2015) 해설.
- 「우리는 이방인-이웃을 사랑할 수 있을까」, 국어문학, 2015.
- 「베트남(인)이라는 이방(인)과 환대의 윤리」, 현대소설연구, 2014.
- 「원초적 어머니의 유혹과 (야생의) ‘그것’들의 귀환-늪을 건너는 법 재발간에 부쳐」(구효서, 늪을 건너는 법, 문학동네, 2014) 해설.
- 「‘열린 사회’와 그 ‘적’들 - 김소진 소설이 남긴 것과 불러올 것」(김소진, 열린 사회와 그 적들-김소진 대표중단편, 문학동네, 2014) 해설.
- 「해방없는 해방과 귀향없는 귀환-채만식의 「소년은 자란다」 읽기」, 현대소설연구 49, 2012.
- 「이식된 근대와 또 다른 근대 - 1930년대 후반기 임화 비평의 경우」,Comparative Korean Studies 19권 2호, 2011.
- 「반성의 윤리성과 탈식민성 - 해방직후 채만식 문학의 한 특성」, 민족문학사연구 45, 2011.

남기혁(Nam, Ki hyeog)
- 직위 : 교수
- 담당과목 : 현대시
- 전화번호 : 063-469-4313
- 이메일 : hyeok64@kunsan.ac.kr

학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주요경력
- 서울대 한국문화연구소 연구원
- 언론사주간
- 경찰대학 선발시험 출제위원
- 공무원시험 출제위원
- 중고등학교 국어 검정심의회 심의위원
- 국립군산대학교 입학관리본부장∙ 국립군산대학교 입학처장
연구분야
- 한국 고전시가
- 한국 문화콘텐츠
- 글쓰기
연구실적
- 2013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학술도서
- 2015년 인성교육 3.0 지원사업 선정(한국교양기초교육원 공모사업)
- 2016년 교양교육 교강사 워크숍 지원 사업 선정(한국교양기초교육원 공모사업)
저서 및 논문
- 「구활자본 고전소설 [약산동대]의 삽입가요 연구」, [한국시가연구]제41집, 한국시가학회, 2016
- [조선시대 시가의 역사적 이해와 전망], 소명출판, 2012
- [조선 전기 사대부가사], 문학동네, 2012
산학협력 가능분야
- 고전문학과 연계된 문화콘텐츠
- 글쓰기
- 공무원시험 등 국가 시험 컨설팅

박시균(Park, See gyoon)
- 직위 : 교수
- 담당과목 : 언어습득,음성학,음운론
- 전화번호 : 063-469-4334
- 이메일 : seegyoon@kunsan.ac.kr
학력
- 서울대학교 언어학과 (언어학) 학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언어학과 (국어학, 영어학) 석사
-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호주) Dept. of English (음성학/음운론, 외국어교육/습득) 박사
연구분야
- 한국어/영어 습득 및 교육
- 한국어/영어 발음 습득 및 교육
- 한국어/영어 음성 분석
- 다문화와 외국어 습득
연구실적
- 2011-2012 : 아산사회복지재단 (₩20,000,000: 단독연구) 다문화가정 구성원에 대한 한국어교육 연구
- 2013 : 국립국어원 (₩120,000,000: 공동연구) 온라인 사전 편찬 연구
- 2014-2016 : 군산시 (₩200,000,000: 공동연구) 인문도시 사업 연구
- 2018-2019 : 국립군산대학교 (₩5,000,000: 단독연구) 한국인과 외국인의 유음화, 비음화 연구
- 2019-2020 : 국립군산대학교 (₩8,000,000: 공동연구) 교육국제화역량 인증제 관련 국제화지표에 관한 연구
- 2020-2021 : 국립군산대학교 (₩4,000,000: 공동연구) 유학생을 위한 효과성 있는 학교적응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저서 및 논문
- 저서
- 다문화·다문화가정·한국어교육 8년간의 인식 변화 연구(2013-2021)(2021, 공저), 집문당
- 데이터와 함께하는 언어학습과 사회통합(2017, 공저), 한국문화사
- 다문화가정 구성원에 대한 투트랙 한국어 교육방안 연구(2013, 단독), 집문당
- 한국어 음성음운 교육론(2013, 단독), 한국문화사
- 논문
-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의 종성 유음 /ㄹ/ 발음 오류 분석(2021), 우리말연구 64, 181-209.
- 우크라이나 중급 학습자의 한국어 단순모음 발음 분석(2021), 한국어교육연구 14, 133-168.
- 베트남과 중국 학습자의 습득 정도 변화에 따른 전체 모음 체계 내에서의 한국어 모음 음가 변화 추이 연구(2020), 언어 45-4, 863-889.
- 유아 다문화가정 자녀 (한)국어 교육에 대한 개선점 연구(2020), 인문언어 22-2, 231-253.
- 음성실험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어중 경폐쇄음 교육 방안 모색(2019), 우리말연구 85, 139-172.
- /ㄴ/-/ㄹ/가 연이어 오는 환경에서의 유음화-비음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 -전북 지역 화자를 중심으로-(2019), 언어 44-3, 559-585.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폐찰음 발음에대한 청취・음향음성학적 연구(2019), 국어문학 72, 421-448.
산학협력 가능분야
- 임원 및 사원에 대한 맞춤형 영어교육 / 한국어교육
- 프리젠테이션 스킬, 토론 및 화법,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쓰기
- 음성분석 및 포렌식 음성학 분야

학력
- 충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동 대학원 졸업
- 문학박사(Ph.D) 영상문학 전공
주요경력
-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부 연구교수
- 기초교양교육원 교재 및 커리큘럼 연구위원
- 영상문학 자문위원 및 대중강연
- 한국극예술학회 연구이사
연구분야
- 영상문학(드라마, 영화, 대본, 시나리오), 글쓰기, 국어교육
연구실적
단행본
- 《사고와 표현》, 궁미디어, 2019.
- 《K-culture로 만나는 한국/한국인.1》, 북마크, 2022.
- 《K-culture로 만나는 한국/한국인.2》, 북마크, 2022
논문
- 〈박찬욱 영화의 여성인물 연구〉, 《한국언어문화》 78, 2022.
- 〈박재범 드라마 연구-반영웅 3부작을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4(7), 2022.
-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 <지옥> 연구〉, 《어문연구》 111, 2022.
- 〈<오징어 게임> 연구-글로벌 플랫폼과 전 세계 시청 공동체의 결연〉, 《문화와융합》 44(2), 2022.
-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보건교사 안은영>연구〉, 《어문연구》 108, 2022.
- 〈일상의 파국과 상상된 재난-시네마틱 드라마 [SF8] 연구〉, 《어문론집》 85, 2021.
- 〈텔레비전드라마의 여성인물 변화 양상 연구〉, 《한국문예비평연구》 69, 2021.
- 〈[동백꽃 필 무렵] 연구-로컬의 낭만과 추리서사의 전략적 병합〉, 《한국극예술연구》 67, 2020.
- 〈악의 서사화와 정당화된 악-영화 [조커] 연구〉, 《인문학연구》 59(3), 2020.
- 〈비대면 시대 대학 온라인 강의 개발 사례 연구〉, 《문화와 융합》 42(10), 2020.
- 〈영화 [기생충] 연구-희비극으로 재현한 계급 공존의 불가능성〉, 《어문연구》 101, 2019.
-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영화적 기록-[박하사탕]을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62, 2019.
- 〈박찬욱 영화의 염세주의적 세계관 연구〉, 《문학과영상》 20(1), 2019.
- 〈글쓰기 학습자의 자기효능감 강화 및 실제적 문제 개선을 위한 교수자 피드백 방법 연구〉, 《우리어문연구》 64, 2019.
- 〈대학 글쓰기 수업 학습자를 위한 효율적인 자기소개서 교육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연구》 19(7), 2019.
- 〈포스트휴먼 시대의 텔레비전드라마-[너도 인간이니?]를 중심으로〉, 《대중서사연구》 24(4), 2018.
- 〈대중영화의 역사적 사건 재현에 대한 고찰-[택시운전사], [1987], [군함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96, 2018.
- 〈김은숙 텔레비전드라마의 대중 전략 연구〉, 《한국언어문화》 65, 2018.

주요경력
- 인문대학 학장 및 교육대학원장
- 인문과학연구소소장
- 언론사주간
각종 위원회 및 대외활동
-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단 전문위원
- 한국연구재단인문학대중화운영위원회 위원
- 국어문학회회장
- 현대문학이론학회 편집위원장
- 문예연구 편집위원
- 채만식문학상운영위원장
- 군산시 지명위원회 위원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평가위원
수상
- 2017 인문학진흥유공자 교육부장관 표창
- 황룡학술상
- 한국연구재단 인문학분야 최우수 프로그램 매니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