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진
법학과 교수진은 학생의 교육역량 강화에 최선을 다하며, 입학부터 졸업까지 매 학기 2회 이상 상담을 의무화하여 학생을 지도하고 있습니다.

노기호(Noh, Ki Ho)
- 직위 : 교수
- 세부전공 : 헌법
- 연구실 : 사회관 4층 2414호
- 연락처 : 063-469-4452
- 이메일 : ro@kunsan.ac.kr
학력
기 간 | 학 교 | 전 공 | 학 위 |
---|---|---|---|
1985년 3월 - 1989년 2월 | 한양대학교 | 법학 | 학사 |
1989년 3월 - 1991년 2월 | 한양대학교 | 법학(헌법) | 석사 |
1992년 3월 - 1998년 8월 | 한양대학교 | 법학(헌법·교육법) | 박사 |
주요경력
기 간 | 근 무 기 관 | 직위 등 |
---|---|---|
1997년 3월 - 1998년 2월 | 일본 고베대학교 법학부 | 외국인연구자 |
2001년 6월 – 2001년 8월 | 독일 쾰른대학교 법과대학 | 객원교수 |
2004년 6월 - 2004년 8월 | 독일 베를린-훔볼트대학교 법과대학 | 객원교수 |
2005년 2월 - 2006년 1월 | 미국 워싱턴주립대학교 로스쿨 | 객원교수 |
2008년 3월 - 2020년 현재 | 국회사무처 법제실 | 입법자문위원 |
2019년 5월 - 현재 | 교육부 지방교육자치 강화추진단 | 자문위원 |
2018년 1월 - 현재 |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 조정위원 인선위원 |
2011년 4월 - 2016년 4월 | 국가인권위원회 인권교육분과 | 전문위원 |
2012년 9월 – 2015년 8월 | 교육부 교육복지안전과 | 전문위원 |
2012년 9월 - 2016년 3월 | 법제처 조약심의과 | 조약심위전문위원 |
2011년 1월 – 2013년 12월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전문위원 |
2019년 3월 – 2019년 12월 | 인사혁신처 시험출제과 | 국가직 9급 공채시험 선정위원 |
2019년 3월 – 2019년 12월 | 인사혁신처 시험출제과 | 5급 공채시험 선정위원 |
2019년 3월 – 2019년 12월 | 인사혁신처 시험출제과 | 지방직 9급 공채시험 선정위원 |
2019년 3월 – 2019년 12월 | 인사혁신처 중앙공무원선발위원회 | 고위공무원단 면접위원 |
2018년 3월 – 2018년 12월 | 국회사무처 법제실 | 입법고시 출제위원 |
2018년 3월 – 2018년 12월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교과서검정위원 |
2017년 3월 - 현재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교육정책연구소 이사 |
2010.06 ~ 2010.08 | 법무부 고시출제과 | 사법고시 1차 출제위원 |
2016년 3월 – 2016년 12월 | 한국연구재단 | 인문사회분야 연구과제 심사위원 |
2018년 9월 – 현재 | 전라북도 | 행정심판위원회 위원 |
2018년 9월 – 현재 | 전라북도 교육청 | 교육행정심판위원회 위원 |
2018년 1월 - 현재 | 군산시 행정자치과 | 정보공개심의위원회 위원 |
2018년 1월 - 현재 | 군산시 행정자치과 | 기록물 페기위원회 위원 |
2018년 1월 – 현재 | 전라북도 새만금개발청 | 징계위원회 위원 |
2016년 1월 - 현재 | 전라북도 노동청 | 징계위원회 위원 |
2016년 4월 – 2016년 12월 | 군산의료원 정규직 전환심사위원회 | 전환심사위원 |
2015년 1월 – 2017년 12월 | 전라북도 교육청 소청심사위원회 | 소청심사위원 |
2018년 1월 – 2018년 12월 | 전라북도 교육청 징계위원회 | 징계위원회 위원 |
2018년 3월 - 현재 | 전라북도 교원단체 총연합회 | 부회장 |
2020년 3월 - 현재 | 국립군산대학교 인권센터 | 센터장 |
2019년 6월 – 2020년 2월 | 국립군산대학교 사회혁신산업센터 | 센터장 |
2018년 3월 - 현재 | 국립군산대학교 징계위원회 | 징계위원회 위원 |
2018년 3월 - 현재 | 국립군산대학교 규정심의위원회 | 심의위원 |
2020년 3월 – 2021년 2월 | 국립군산대학교 법학과 | 학과장 |
2020년 3월 – 2021년 2월 | 국립군산대학교 법학연구소 | 연구소장 |
2017년 3월 – 2019년 8월 | 국립군산대학교 성윤리위원회 | 윤리위원 |
2016년 3월 – 2018년 2월 | 국립군산대학교 교수평의회 | 부의장 |
2009년 3월 – 2011년 3월 | 전주지방법원 군산지원 | 민사조정위원 |
2018년 3월 - 현재 | 군산교도소 귀휴심사위원회 | 심사위원 |
2010년 1월 – 2017년 12월 | 군산교도소 교정위원회 | 교정위원 |
2021년 3월 - 현재 | 국립군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 | 학장 |
학회활동
근무년월 | 근무처 | 직위 |
---|---|---|
2019. 01 ~ 현재 | 대한교육법학회 | 고문 |
2017. 01 ~ 2018. 12 | 대한교육법학회 | 회장 |
2020. 01 ~ 2020. 12 | 한국법정책학회 | 부회장 |
2020. 01 ~ 2020. 12 | 한국비교공법학회 | 부회장 |
2019. 01 ~ 2020. 12 | 유럽헌법학회 | 부회장 |
2017. 01 ~ 2017. 12 | 한국공법학회 | 부회장 |
2016. 01 ~ 2016. 12 | 한국헌법학회 | 부회장 |
2015. 01 ~ 2019. 12 | 한양법학회 | 편집위원장 |
2012. 01 ~ 2012. 12 | 한국국가법학회 | 연구이사 |
2012. 01 ~ 2016. 12 | 한국교육법학회 | 연구이사 |
1999. 03 ~ 현재 | 헌법판례연구회 | 회원 |
1999. 09 ~ 현재 | 日本敎育法學會 | 會員 |
논문
구분 | 연 구 논 문 | 연도 | 학술지명 | 논문 게재 호수 | 발행처 |
---|---|---|---|---|---|
1 | 한국과 중국의 공공복리 실현원리에 대한 비교연구 | 2020 | 동북아법연구 | 제13권 3호 | |
2 | 교원의 교육권으로서의 교육과정편성권의 쟁점과 보장 | 2019 | 한양법학 | 제30권 제1호 | |
3 | 남북한 교육법제의 비교와 통합방안 | 2019 | 동북아법연구 | 제13집 제1호 | |
4 |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 제정 방향과 과제 | 2018 | 한양법학 | 제29권 제1호 | |
5 | 남북정상회담 판문점 선언의 법적 성격과 효력에 관한 고찰 | 2018 | 법과정책연구 | 제18집 제2호 | |
6 |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법제의 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 2017 | 한양법학 | 제28권 제2호 | |
7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교육권한 배분 및 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 | 2016 | 법과정책연구 | 제16집 제3호 | |
8 | 교육기본권 관련 헌법재판소 주요 판례의 해석과 쟁점 | 2016 | 한양법학 | 제27권 제4호 | |
9 | 독일의 교육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교육안전망에 대한 법적·제도적 구조 연구 | 2016 | 한양법학 | 제27권 제1호 | |
10 | 지방자치단체장과 교육감의 연계․협력 방안 | 2015 | 법과정책연구 | 제15집 제3호 | |
11 | 스웨덴 교육체제 및 교육법제의 내용과 특징 | 2015 | 한양법학 | 제26권 제2호 | |
12 | 고등교육분야 교육규제개혁 처리현황과 과제 | 2015 | 유럽헌법연구 | 제17권 | |
13 | 공정사회실현을 위한 전제로서의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 2014 | 법과정책연구 | 제14집 제4호 | |
14 | 학업중단 청소년 지원 법률의 제정 방향과 과제 | 2014 | 교육법학연구 | 제26권 제3호 | 대한교육법학회 |
15 | 스웨덴 교육복지 법제의 동향과 특징 | 2014 | 유럽헌법연구 | 제15권 | 유럽헌법학회 |
16 |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기본권 실현을 위한 국가 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 | 2013 | 법과정책연구 | 제13권 제4호 | 한국법정책학회 |
17 | 교사 직무의 적정 범위와 법제화 방안 | 2013 | 한양법학 | 제24권 제3호 | 한양법학회 |
18 | 지방교육분권 확립을 위한 교육법제 및 교육재정 방안 연구 | 2013 | 교육법학연구 | 제25권 제1호 | 대한교육법학회 |
19 | 교육기본권 실현을 위한 전제로서의 교육복지 | 2012 | 헌법학연구 | 제18권 제3호 | 한국헌법학회 |
20 | 미국에서의 인터넷 상업광고에 대한 헌법적 규제 | 2012 | 동북아법연구 | 제6권 제1호 | 동북아법연구소 |
21 | 교권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 2012 | 인권친화적 학교문화조성을 위한 정책 토론회 | 국가인권위원회 | |
22 | NEIS에 의한 교육정보의 공개와 학생의 개인정보 보호 | 2012 | 한양법학 | 제23권 제2호 | 한양법학회 |
23 | 학생인권조례의 평가와 향후과제 | 2011 | 학생인권정책토론회 : 학생인권 현안과 과제 | 국가인권위원회 | |
24 |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한 국가 교육지원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 | 2011 | 법과정책연구 | 제11권 제3호 | 한국법정책학회 |
25 | 학생의 표현의 자유의 허용범위와 한계 - 미국연방대법원의 판례와 이론을 중심으로- | 2011 | 미국헌법연구 | 제22권 제2호 | 미국헌법학회 |
26 | 고령화사회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 연구 | 2010 | 법과정책연구 | 제10권 제3호 | 한국법정책학회 |
27 | 일본의 고등교육관련 지원법령의 내용과 특징 : 한국 “고등교육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2009 | 교육법학연구 | 제21권 제1호 | 대한교육법학회 |
28 | 군형법 제92조 “추행죄”의 위헌성 고찰 ― 육군 제22사단 보통군사법원 2008.8.6. 위헌제청결정사건(2008고10)을 중심으로 ― | 2009 | 헌법학연구 | 제15권 제2호 | 한국헌법학회 |
29 | 정부형태에 따른 국무회의의 법적 지위와 권한 | 2009 | 한양법학 | 제26권 | 한양법학회 |
30 | 학생의 학습권보장을 위한 국가 교육권한의 범위와 한계 | 2008 | 원광법학 | 제24권 제4호 | 법학연구소 |
31 | 人間尊嚴과 生命權의 問題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 2008 | 고시계 2008년 12월호 | 제622호 | 고시계사 |
32 | 현대 교육복지정책의 동향과 법제의 방향 | 2008 | 법과정책연구 | 제8집 제2호 | 한국법정책학회 |
33 | 교원의 실체적 권리와 교육권의 제한에 관한 연구-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와 이론을 중심으로- | 2008 | 법학논총 | 제28집 제2호 | 전남대학교 법률행정연구소 |
34 | 초중등학교의 교육환경 조성의무와 학생의 학습권보장 | 2008 | 원광법학 | 제24집 제3호 | 법학연구소 |
35 | 고교다양화 정책과 학생의 학습권보장 | 2008 | 한양법학 | 제23집 | 한양법학회 |
36 | 교원의 교육권 보호법안 제정을 위한 이론적 고찰 - 그 침해현황과 현행법상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 2008 | 공법학연구 | 제9권 제2호 | 한국비교공법학회 |
37 | 일본교육기본법의 개정내용과 특징 | 2007 | 공법학연구 | 제8권 제2호 | 한국비교공법학회 |
38 | 일본교육법학계의 최근연구동향과 과제 | 2007 | 한양법학 | 제20집 | 한양법학회 |
39 | 미국의 교육복지정책과 법제의 동향 | 2007 | 공법연구 | 제35권 제3호 | 한국공법학회 |
40 | 初 · 中等敎師의 政黨加入 및 選擧運動 禁止 등의 違憲與否 | 2007 | 고시계 2007년 7월호 | 제605호 | 고시계사 |
41 | 헌법재판소의 이른바 ‘관습헌법’논리에 대한 비판적 분석 -[대상판례: 헌재 2004. 10. 21. 2004헌마554 | 2006 | 한양법학 | 제19집 | 한양법학회 |
42 | 독일의 교육복지정책과 법제의 동향 | 2006 | 법과 정책연구 | 제6권 제2호 | 한국법정책학회 |
43 | 헌법상 교원의 교육의 자유의 보장과 제한 | 2006 | 한양법학 | 제19집 | 한양법학회 |
44 | 일본에서의 교육의 자주성.전문성 및 정치적 중립성에 대한 논의 | 2006 | 공법학연구 | 제7권 제1호 | 한국비교공법학회 |
45 | 미국에서의 국가, 교원, 학부모 상호간의 권한관계 | 2005 | 법과 정책연구 | 제5권 제2호 | 한국법정책학회 |
46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초중등교원의 정치적 권리의 제한 | 2004 | 인권과 정의 | 제340호 | 대한변호사협회 |
47 | 일본교육법상 교육관련 당사자의 교육권개념과 권한관계정립에 관한 연구 | 2004 | 교육법학연구 | 제16권 제2호 | 대한교육법학회 |
48 | 인간복제의 헌법적 문제 | 2004 | 인권과 정의 | 제329호 | 대한변호사협회 |
49 | 독일학교법상 교육관련 당사자의 교육권개념과 권한관계정립에 관한 연구 | 2003 | 법과 정책연구 | 제3권 제2호 | 한국법정책학회 |
50 | 미국에서의 상업적 언론의 헌법적 정당성과 그 지위에 관한 논의 | 2003 | 미국헌법연구 | 제14권 | 미국헌법학회 |
51 | 독일기본법상의 국가의 교육권한과 교원의 교육권의 제한 | 2003 | 교육법학연구 | 제15권 제1호 | 대한교육법학회 |
52 | 독일학교법(Schulrecht)상의 학부모의 교육권과 그 제한 및 한계 | 2003 | 공법연구 | 제31권 제4호 | 한국공법학회 |
53 | 독일기본법상의 교원의 교육의 자유와 제한 | 2002 | 법과 정책연구 | 제2권 제2호 | 한국법정책학회 |
54 | 북한교육법제의 체계와 특징 | 2002 | 인권과 정의 | 제315호 | 대한변호사협회 |
55 | 국민의 정부의 교육정책과 국민의 교육기본권보장 | 2001 | 공법연구 | 제30권 제2호 | 한국공법학회 |
56 | 헌법재판소판례에 나타난 미결수용자의 법적 지위 | 2000 | 형사정책연구 | 제11권 제2호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57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과 교원의 정치적 권리의 제한 | 2000 | 공법연구 | 제28권 제3호 | 한국공법학회 |
58 | 일본의 교과서재판에 나타난 헌법상의 문제점에 대한 검토 | 1999 | 공법연구 | 제27권 제2호 | 한국공법학회 |
59 | 미결수용자의 열람의 자유 | 1999 | 인권과 정의 | 제279호 | 대한변호사협회 |
60 | 교육정보공개와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 | 1998 | 공법연구 | 제27권 제1호 | 한국공법학회 |
61 | 敎員の敎育權の法的性格(교원의 교육권의 법적 성격) | 1998 | 한양법학 | 제9집 | 한양법학회 |
62 | 교육기본권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평석 | 1997 | 배준상교수 정년기념논문집 | 배준상교수 정년기념논문 간행위원회 |
|
63 | 5.18특별법의 위헌여부 | 1996 | 한양법학 | 제7집 | 한양법학회 |
64 | 언론의 인격권침해에 대한 금지청구권 | 1995 | 한양법학 | 제6집 | 한양법학회 |
65 | 선거구 인구 불평등의 문제 | 1994 | 한양법학 | 제4·5집 | 한양법학회 |
저서 및 역서
구분 | 발행연도 | 저서명 | 발행처명 | 비고 |
---|---|---|---|---|
1 | 2019 | 헌법개요 | 한울미디어 | 단독 |
2 | 2016 | ICT 법학개론 | 국립군산대출판부 | 공저 |
3 | 2015 | 생활법률 | 법지사 | 공저 |
4 | 2014 | 북유럽의 교육복지 법제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스웨덴- | 한국법제연구원 | 단독 |
5 | 2011 | 헌법개론 | 영창인쇄기획 | 단독 |
6 | 2008 | 교육권론 | 집문당 | 단독 |
7 | 2008 | 地方財政の變模と法(지방재정의 변모와 법) | 한국법제연구원 | 단독 |
8 | 2006 | 강의헌법 | 영창기획 | 단독 |
9 | 2005 | 교육복지체제 구축을 위한 법제연구 | 국회사무처 | 공저 |
10 | 2005 | 시민생활과 법 | 국립군산대학교 | 공저 |
11 | 2003 | 교육주체상호간의 법적 관계 - 교육권의 갈등과 그 조정 - | 한국교육개발원 | 공저 |
12 | 2003 | 교육제도의 헌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헌법재판소 | 공저 |
13 | 2002 | 법학개론 | 국립군산대학교 출판부 | 공저 |
연구과제 수행
구분 | 역할 | 연 구 과 제 명 | 연 구 비 | 연구기간 (부터-까지) |
---|---|---|---|---|
지원기관 | ||||
1 | 연구 책임 |
교육공무원의 직무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공무원법」 개정방안 연구 |
교육부 | 2019.3.1.~2019.9.31. |
2 | 공동 연구 |
국가교육위원회 설립방안 연구 | 국가교육회의 | 2018.7.1.~2018.9.31 |
3 | 공동 연구 |
국가역량체계 구축 및 운영을 위한 법령정비방안 연구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2018.2.1.~2018.8.31 |
4 | 연구 책임 |
학교 밖 청소년 지원 법제의 정립 방안에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6.7.1.~2017.6.30 |
5 | 공동 연구 |
학원법 개정에 따른 평생교육시설의 기능과 역할 정립 방안 연구 |
(사) 한국평생교육총연합회 | 2016.10.5.~2017.12.31 |
6 | 연구 책임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교육권한 배분 및 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5.5.1.~2016.4.31 |
7 | 연구 책임 |
독일의 교육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교육안전망에 대한 법적 제도적 구조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4.05~2015.04 |
8 | 연구 책임 |
공정사회실현을 위한 전제로서의 교육복지의 방향과 과제 |
한국연구재단 | 2013.05~2014.04 |
9 | 연구 책임 |
학원법령 개정 해설 및 학원정책과제의 위탁사업 계약 |
교육과학기술부 | 2011.12~2012.02 |
10 | 연구 책임 |
교권보호 방안 개발 연구용역 | 서울특별시 교육청 | 2011.11~2012.02 |
11 | 연구 책임 |
다문화가정 자녀의 교육기본권 실현을 위한 국가교육정책의 방향과 과제 |
한국연구재단 | 2011.05~2012.04 |
12 | 공동 연구 |
교원양성과정에서 청렴교육 강화방안 연구 | 교육과학기술부 | 2010.06~2010.11 |
13 | 연구 책임 |
지방교육분권 확립을 위한 교육법제 및 교육재정 방안연구 |
한국연구재단 | 2010.05~2011.04 |
14 | 공동 연구 |
사립학교법 개정방안 연구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2009.05~2009.08 |
15 | 연구 책임 |
고령화사회의 평생학습체제 구축을 위한 법적 정책적방안연구 |
한국학술진흥재단 | 2008.12~2009.11 |
16 | 공동 연구 |
교원의 교권보호 법안 제정방안 연구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2008.05~2008.08 |
17 | 연구 책임 |
교원의 실체적 권리 보장방안에 관한 연구-미국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2008.05~2008.09 |
18 | 연구 책임 |
현대 교육복지정책의 동향과 법제의 방향 | 한국학술진흥재단 | 2007.12~2008.11 |
19 | 연구 책임 |
교육주체간의 교육권갈등 해소방안 연구 |
아산사회복지재단 | 2006.10~2007.09 |
20 | 공동 연구 |
교육복지체제 구축을 위한 법제연구 | 국회사무처 | 2005.03~2005.08 |
21 | 연구 책임 |
미국에서의 교육주체 상호간의 법적 관계 및 그 갈등의 조정에 관한 연구 |
국립군산대학교 | 2005.02~2006.01 |
22 | 공동 연구 |
교육법학사전편찬사업 | 한국학술진흥재단 | 2004.07~2006.02 |
23 | 연구 책임 |
독일에서의 교육주체 상호간의 권한관계 및 그 갈등의 조정에 관한 연구 - 실증적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
한국학술진흥재단 | 2004.06~2004.08 |
24 | 연구 책임 |
일본교육법상 교육관련당사자의 교육권개념과 권한관계정립에 관한연구 |
국립군산대학교 | 2004.05~2004.10 |
25 | 연구 책임 |
교수기능의 분화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군산대학교 | 2003.11~2004.01 |
26 | 연구 책임 |
독일학교법상의 교육관련당사자의 교육권 개념과 권한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 |
한국학술진흥재단 | 2003.09~2004.08 |
27 | 공동 연구 |
헌법상의 교육제도에 관한 연구 | 헌법재판소 | 2003.06~2003.12 |
28 | 공동 연구 |
교육주체상호간의 법적 관계 - 교육권의 갈등과 그 조정- |
한국교육개발원 | 2003.01~2003.12 |
29 | 연구 책임 |
독일기본법상 국가의 교육권한과 교원의 교육권의 제한 - 특히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판례와 이론을 중심으로- |
한국학술진흥재단 | 2002.07~2003.06 |
30 | 연구 책임 |
독일기본법상 교원의 실체적 권리와 교원의 교육권의 제한 |
국립군산대학교 | 2001.07~20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