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목 개요
- 해양정책총론(General Theory of Maritime Policy)
해양정책의 의의, 범위, 연구방법, 학문적 특징 등을 설명하고, 해운정책, 항만정책, 수산정책, 해양개발정책, 해양환경정책, 해양안전정책, 보안정책 등 해양정책 전반에 대하여 연구한다.
- 해양정책각론(Special Theory of Maritime Policy)
해양정책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중, 일, 미국, 캐나다, 호주, 유럽등 주요 해양국가의 해양정책관련 기본법 및 주요 개별법, 정부조직, 해양정책 및 주요 개별정책의 수립 및 집행과정을
연구한다.
- 국제해양법(International Law of the Sea)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 국가관행 및 국제판례 등을 기초로 해양수역에 관한 법적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해양경계획정, 도서 영유권문제, 해양과학조사, 어업문제 등 해양현안 문제들에 관하여 분석하고
해결방안 등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심도 있게 연구한다.
- 해양법판례특론(Advanced Case Study on the Law of the Sea)
국제해양법재판소, 국제사법재판소, 중재재판소 등 해양법분야의 각종 판례를 분석하고, 국제관습법과 국제해양법상 이론과 규정이 실제 재판과정에서 어떻게 해석· 적용되었는지 연구한다.
- 해양분쟁해결론(Theory of Maritime Dispute Settlement)
해양관련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해양분쟁해결제도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제고하고, 이를 기초로 전 세계에서 발생하는 각종 해양분쟁 사례들에 대해 분석하여 해양분쟁 해결능력을
향상시킨다.
- 해양국제관계론(Theory of Maritime International Relations)
동해, 남해, 황해 등 한반도 주변수역과 동중국해, 남중국해, 북극해, 남극, 중국과 미국의 해양정책 등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을 둘러싼 국제관계의 형성과 변화 그리고 향후 국제관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심층 분석한다.
- 해양관할권법론(Theory of Maritime Jurisdiction)
1982년 유엔해양법협약상 관할권에 대한 일반적인 개념과 관할권 설정을 위한 요건 및 제도에 대하여 학습하고, 주요 해양국가의 관할권설정 관행과 제도에 대하여 연구한다.
- 국제기구 및 국제해사기구론(Theory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 &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UN 산하 국제기구의 법적 성격, 역할, 권리와 의무, 특성 등에 관하여 학습하고, 해사분야의 국제기구인 IMO, ILO 등의 전문 기구와 동 분야의 NGO에 대해서 연구한다. 특히 IMO의 설립협약,
성격, 구성, 기능, 현황, 활동상황 등과 향후 발전방향, 우리나라와의 관계 등을 깊이 있게 연구한다.
- 해운항만산업정책론(Theory of Shipping and Port Industry Policy)
국제운송의 핵심인 해운업과 이를 지원하는 인프라인 항만을 중심으로 각종 지원 산업의 특성 등을 검토하고 해운항만산업 육성정책에 대하여 연구한다.
- 국제해운정책론(Theory of International Shipping Policy)
미국, 영국, 독일, 네덜란드, 중국, 일본 등 세계 주요 해운국들과 우리나라의 다양한 해운정책에 대해 비교 연구한다.
- 해양관광산업론(Theory of Marine Tourism)
해수욕, 해양기구를 이용한 레저, 바다낚시, 크루즈, 잠수 등 관련 산업 및 기술의 연구, 개발 등 해양관광산업의 특수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탐구하고, 해양관광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을 연구한다.
- 마리나산업론(Theory of Marina Industries)
스포츠 또는 레크리에이션용 요트, 모터보트 등의 선박을 위한 항구, 항로, 정박지, 방파제, 계류시설, 육상 보관시설 등의 편리를 제공하는 시설뿐 아니라 이용자에게 편리를 제공하기 위한 클럽하우스,
주차장, 호텔, 쇼핑센터, 위락 시설과 녹지공간 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의 항만인 마리나산업의 진흥을 위한 정책을 연구한다.
- 연안 및 해양 공간관리론(Theory of Coastal & Ocean Space Management)
연안 및 해양공간관리, 공유수면 관리, 도서관리 등 연안과 해양에서의 각종 공간 계획의 수립과 시행, 침식 관리, 매립 면허 등 관련 정책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 연안통합관리론 (Theory of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연안육역과 연안해역에 대한 개발, 이용 및 보전 등 연안자원의 통합관리를 위한 연안통합관리에 대해 검토하고, 주요 연안 국가들의 연안통합관리를 위한 관련법규 및 제도, 정책, 정부조직 등을 연구한다.
- 일반해양관리론(General Theory of Marine Management)
영해, 200해리경제수역, 해양생태공원, 해양국립공원 등 국가가 관리하는 해양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효율적인 해양관리를 위한 정책을 연구한다.
- 해양자원관리론(Theory of Maritime Resource Management)
해양환경 및 천연자원이용 정책에 대해서 연구한다. 특히, 해양자원과 관련한 자원영향성평가, 환경문제, 연연관리, 재생 및 비재생자원 관리 등 공공정책 문제에 관하여 분석한다.
- 해양안전관리론(Theory of Maritime Safety Management)
선박과 선원의 안전관리, 인명 구조, 해상교통안전, 해상안전제도, 해상 테러 방지, 해적 피해 예방 등 각종 해양 안전과 치안 유지 관련 문제들에 대하여 연구한다.
- 해상교통안전론(Theory of Maritime Traffic Safety)
해상교통의 현황, 안전, 관리 및 해양사고, 해상교통관제, 수색구조, 국제신호 및 국제신호서 등에 대해 학습하여 안전한 해상교통을 위한 정책방향의 수립에 대해 연구한다.
- 선박 및 항만안전법 Ships and Port Safety Act
선박과 항만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법(SOLAS협약, ISPS Code 등)과 국내법(선박안전법, 항만안전특별법 등)을 고찰하고, 안전한 해운을 위한 정책방향을 연구한다.
- 해양안보전략론(Theory of Maritime Security Strategy)
우리나라 주변국들 즉 중국, 러시아, 일본, 북한의 해양 전략과 해군 전력을 분석하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국가 해양전략 방안에 대하여 연구한다.
- 해양경찰법론(Theory of Maritime Police Law)
내수, 영해,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의 경비와 해당 수역에서의 치안과 질서를 유지하고 우리나라의 선박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연구를 수행한다.
- 해양신산업론(Theory of New Marine Industry)
해양바이오, 해양관광, 친환경선박, 첨단해양장비, 해양에너지 등 5대 핵심 해양신산업과 스마트 해양수산업에 대한 정책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 해양신재생에너지정책 (Policy of Marine New Renewable Energy)
기존의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해양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와, 국내외 해양재생에네지 개발에 관한 기술적, 환경적, 사회경제적, 법적 문제를 깊이 있게 연구한다.
- 선원정책(Policy for Seafarers)
선원의 직무, 복무, 근로조건의 기준, 직업안정 및 교육·훈련에 관한 사항과 선내질서 유지, 선원의 기본적 생활을 보장·향상 시키며 선원의 자질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선원법을 중심으로 선원에 대한 정책을
검토하고 연구한다.
- 어촌개발론(Fishing Village Development Theory)
어촌의 현황을 분석하여, 어촌지역 주민 소득 및 기초생활수준 향상, 어촌 인구유지 및 특화 마을 조성, 유·무형 자원 기반 주민주도형 특화사업 개발, 어촌의 공간 개발 방안, 어업 인력 개발, 어항 등
기반 시설 개발, 어촌관광 개발 방안 등 어촌개발정책에 대해 연구한다.
- 해양기후변화 대응론 (Ocean Climate Change Response Theory)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의 변화에 대한 대비와 해양 재해 대응 이론, 해빙에 따른 북극해 개발 전략 등에 대해 연구한다.
- 수산정책론(Theory of Fishery Policy)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행하는 어업자원 관리와 이를 통해 수산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각종 정책에 대하여 연구한다.
- 수산경영학론(Theory of Fishery Management)
어업 경영을 합리적으로 수행하여 어업경영 수익을 최대화해 나가는 활동인 수산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경영관리 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어업의 경제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방향에 연구한다.
- 해운경영학론(Theory of Shipping Management)
해운기업의 목표인 최소한의 희생으로 최대한의 성과를 얻을 수 있는 경제적 능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해운기업이나 조직 등의 기관이 자신의 기업이나 조직을 관리하여 운영하는 활동인 해운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경영관리 기법에 대해 이해하고, 해운의 경제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방향에 연구한다.
- 수산경제론 (Theory of Fisheries Economy)
대한민국 경제에서 수산업의 위치와 역할 그리고 향후 발전 방향 등에 대해 분석하고, 우리나라의 수산경제가 안고 있는 독특한 경제적 문제와 특수성에 대하여 깊이 있게 연구한다.
- 수산자원관리론 (Theory of Fishery Resource Management)
어업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자원평가와 진단을 기초 삼아 자원 상태를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바람직한 수준으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유지시키는 행위인 수산 자원관리에 대한 정책적 접근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 양식산업론(Theory of Aquacultural Industry)
국내외 수산양식산업의 현황과 양식업 육성 정책·규제, 양식기업의 관리 및 경영 등에 대하여 깊이 있게 연구한다.
- 국제수산기구론(Theory of International Fishery Organization)
FAO 수산위원회를 비롯하여 지역수산기구, 참치지역기구, 비참치지역기구 등 국제수산기구 및 국제어업환경과 국제어업협약에 대하여 연구한다.
- 해양환경정책론(Theory of Marine Environmental Policy)
해양환경관리정책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학습하고, 항만과 하구, 연안지역의 환경오염, 해양유류오염, 해양 페기물 투기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방향에 대해 연구한다.
- 해양오염방제론(Policy to Prevent the Ocean Pollution)
해양오염의 개념,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지역적, 세계적 협약, 해양환경보호를 위한 국가의 권리와 의무, 국제책임, 분쟁해결 등에 대하여 검토하고, 주요 해양 국가의 실질적인 해양오염규제조치에 관하여 깊이
있게 연구한다.
- 국제해양협력정책 (Policy of International Maritime Co-operation)
해양환경의 국제적 현안을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제해양협력정책을 바르게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해양환경 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구축된 국제해양협력체의 역할과 기능의 발전방향에 대해 깊이 있게
연구한다.
- 해양정책세미나 (Maritime Policy Seminar)
국내외 해양정책 관련 주요 쟁점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한다.
국립군산대학교
에서 제작한 "
교과목 개요" 저작물은 "
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표시 적용 안함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 담당자 :
- 연락처 :
- 최종수정일 : 2025-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