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위원회
- 사회수요에 부응하는 인력양성을 위해 ‘학생-산업체 전문가-교원’의 연계성을 강화함
 - PRIME 참여학과(전공)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산업체 전문가를 교육위원회(협의체) 위원으로 위촉하고 위원회를 상시 개최함으로써 전문가의 참여 제고
 - 교육위원회(협의체) 운영을 토대로 사회수요 맞춤형 교과과정 개발운영 및 전공 교과과정 개편과정에의 현장의견 반영 강화
 - PRIME사업 참여학과 학생의 의견반영과 참여 확대를 위한 제도책 도출
 - 안정적인 취업이 이루어지기 위한 여건 마련 및 교육프로그램 도출
 
사업추진위원회
- 산업연계 교육활성화 선도사업에 대한 계획수립 및 조정
				
- 대학본부, 단과대학 및 지원시설(부속시설 포함)의 업무지원 방향
 - 사업관리 및 자체평가
 - 자체 사업비 집행 가이드라인 재·개정
 - 성과관리 평가 결과에 대한 조치계획 수립 및 시행
 - 사업성과 모니터링 및 실적보고서 점검
 - 기타 사업추진에 관한 사항
 
 
자체평가위원회
- 산업체, 참여분야, 감소분야, 비참여 분야 인사 9명으로 구성
 - 타 정부 재정지원사업과의 프로그램 운용의 중복성 확인
 - 대학 내 타 주요 사업과의 유기적인 연계·협력방안 및 역할분담
 - 각 사업별 프로그램의 일원화된 안내와 방향
 
실무위원회
- 산업연계 및 실무형 교육과정 개발·운영
 - 취·창업 지원 프로그램 개발·운영
 - 프라임사업 참여학과 및 비참여 학과 지원에 관한 사항
 - 기타 프라임사업의 운영에 필요한 사항
 
선정·평가위원회
- 학과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제반 계획 수립 필요성 제안
 - 기업 연관 핵심 교과목 및 전문지식과 창조적 사고능력 배양
 - 전공역량·실무능력 강화 필요
 - 중점심사 기준으로 정원감소분야 24개학과 PRIME사업 취지에 대한 적합성 및 기여도 평가
 
재정지원사업
- 대학의 다양한 재정지원사업과 차별화를 위해 「재정지원사업 중복방지위윈회」를 구성하여 “사업예산의 중복성을 방지”하고 “사업 성과목표 차별화 전략” 등을 계획하여 추진
 - 정지원사업 중복방지위원회 구성, 임기, 역할
				
- 구성
						
- 기획처장(위원장), 교무처장, 학생처장, 사무국장, 산학협력단장,재정위원회위원장, CK사업단협의회장, 기획부처장, 산학협력중점교수
 
 - 임기
						
- 임명일로부터 2년(또는 재임기간)
 
 - 역할과 기능
						
- 종 재정지원사업간 차별화 방안 마련
 - 기타 재정지원사업 중복 방지에 관한 주요사항 등 심의
 - 학내 전문가, 교내외 전문가 및 주요 부서장으로 구성된 전문성 확보
 
 
 - 구성
						
 
재정효율화팀
- 대학회계 건전성 제고를 위한 재정효율화팀 구성 및 주요 기능
				
- 도입배경
						
- 예산편성·조정 컨트롤타워 및 총장 자문기능 부재
 
 - 주요기능
						
- 중장기 대학재정운용계획 수립, 재정지출 효율화 연구, 예산편성안 조정, 재원별 재정운용 기준 및 지침 마련 등
 
 - 구성인원
						
- 팀장(기획처장) 및 전문성을 갖춘 교직원 11명
 
 
 - 도입배경
						
 
재정위원회
- 재정위원회 구성 및 주요 기능
				
- 도입배경
						
- 국립대학회계법 및 시행규칙의 재정위원회 구성에 관한 원칙 준수
 
 - 주요기능
						
- 예산 총칙 및 중기재정운영계획에 따른 예산 편성 및 집행, 소모성 경비의 이·전용 엄격 통제, 예산 사전심사제도 운영
 - 국가재정지원 사업을 포함한 중복방지 제도 운영, 재정위기 조기 대응
 
 - 구성인원
						
- 주요 보직자, 교수회·직원회·학생회 추천인, 전문가 포함 총 15명
 
 
 - 도입배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