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진
국립군산대학교 환경공학과 교수진은 개인의 꿈과 이상을 실현하고, 지역사회의 문화 발전을 이끌어내도록 지도합니다.

김종구(Kim, Jong gu)
- 직위교수
- 최종학력부경대학교 (박사)
- 전공해양오염, 수질관리 (Marine pollution, Water quality management)
- 전화063-469-1874
- 이메일kjg466@kunsan.ac.kr
김종구(Kim, Jong gu)
주요연구주제
- 상하수도공학
- 수질오염관리
- 해양환경조사 및 관리
주요 경력
- 2018.10. ~ 현재 익산시 사전재해영향성 검토위원
- 2020.10. ~ 현재 군산시 폐자원에너지 자원화시설 주민지원협의체 위원장
- 2021.01. ~ 현재 군산시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억제 성과평가위원회 평가위원
- 2021.03. ~ 2023.01. 충청남도개발공사 제6기 기술자문 위원회 위원
- 2021.02. ~ 2023.01. 익산지방국토관리청 기술자문 위원회 위원
- 2020.05. ~ 2022.08. 한국환경공단 상하수도 분야 제안서 평가 위원
- 2021.05. ~ 2022.05. 전주지방검찰청 시민검찰모니터 위원
- 2021.02. ~ 2022.02. 군산시 수돗물평가위원회 위원
- 2021.06. ~ 2021.12. 익산시 지하안전위원회 위원
주요 연구실적
- 주요연구사업
- 충남 화력발전소 주변 온배수 해양환경 영향조사 연구용역. 충청남도
- 금강하구역 하구수문 개방에 따른 하류역 환경에 미치는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군산시
- 새만금호 조류거동 특성 분석 및 관리방안 마련. 전북지방환경청
- 영흥 화력발전소 운영이 어류 및 수산자원에 미치는 영향 조사. ㈜국토해양환경기술단
- 주요연구논문
- 2021. Occurrence, distribution, and potential exposure risk of organophosphate flame retardants in house dust in South Kore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70, https://doi.org/10.1016/j.scitotenv.2020.144571.
- 2020. 당동만의 빈산소 발생 예측.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6, 65-74.
- 2019. 줄리아 언어를 이용한 고성능 해양모델의 개발. 한국해양학회지 26, 187-207.
- 2016. 수치모델을 이용한 진해만 내 소규모 내만의 해수교환율 비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19, 74-85.
- 2016. 함평만의 유입오염부하량 및 물질수지에 관한 연구, 해양환경안전학회지 22, 1-10.
- 저서
- 상하수도공학, 동화기술

김성천(Kim, Seong cheon)
- 직위교수
- 최종학력경희대학교 (박사)
- 전공대기오염제어, 산업보건 (Air pollution control, Industrial hygiene)
- 전화063-469-1875
- 이메일ksc@kunsan.ac.kr
김성천(Kim, Seong cheon)
주요연구주제
- 미세먼지·초미세먼지
- 소음진동
- 산업보건, 환경보건
주요 경력
- 2016.01. ~ 현재 환경검증 선임연구원
- 2002.06. ~ 현재 한국 환경보건학회 부회장 겸 편집위원
- 1997.06. ~ 현재 한국 대기환경학회 평의원
- 2021.05. ~ 2023.05. 제23대 군산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
- 2021.04. ~ 2023.04. 전주시 경관위원회 위원
- 2021.03. ~ 2023.04. 서천군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 및 인정사업계획 수립 용역 제안서 평가위원
- 2021.03. ~ 2023.03. 완주군 군계획위원회 위원
- 2018.01. ~ 2020.01. 환경영향평가 전문가 자문단
- 2017.11. ~ 2019.11. 전라북도 지방건설심의위원회 위원
수상 경력
- 2019년 작가와문학 신인상
주요 연구실적
- 주요연구사업
- 군산시 폐기물처리시설 주변지역 환경상 영향의 조사. 군산시청
- 대기 중 분진의 입경별 분포 조사 및 분진제어장치 개발. 국립군산대학교
- ㈜유니드 MDF공장 Energy Plant 운영시 사후환경영향조사. ㈜유니드
- 주요연구논문
- 2019.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1)의 농도와 폐포 침착율 조사. 한국환경보건학회지 45, 126-133.
- 2015. 금연정책 시행이 전국 PC방의 간접흡연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보건학회지 41, 11-16.
- 2006. Monitoring of atmospheric reduced sulfur compounds and their oxidation in Gunsan landfill areas.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3, 166-173.
- 2003. 군산 산단의 PM10 중금속성분과 이온성분의 크기 분포.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2002. 분진의 입경분포에 따른 중금속의 농도.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저서
- 쉽게 배우는 기상학, 교육과학사
- 생태계와 기후변화, 동화기술
- 대기오염측정 및 분석, 화수목

김강주(Kim, Kang joo)
- 직위교수
- 최종학력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박사)
- 전공지하수/토양 오염 (Groundwater and soil environment)
- 전화063-469-4766
- 이메일kangjoo@kunsan.ac.kr
김강주(Kim, Kang joo)
주요연구주제
- 지하수/지표수 및 토양오염관리 (Management of Water and Soil Pollution)
- 지하수 인공함양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water)
- 무기폐기물의 재활용 (Recycling of coal ash and oyster shells)
주요 경력
- 2019. ~ 현재 영산강·섬진강유역 물관리위원회 위원
- 2019. ~ 현재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부회장
- 2018. ~ 현재 국립농업과학원 농산물안정성부 현장명예연구관
- 2019. ~ 현재 전라북도 지하수관리위원회 위원장
- 2020. ~ 2023. 국립군산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장
- 2018. ~ 2019. 전라북도 환경녹지국 주민참여예산협의회 위원장
- 2018. ~ 2019. Journal of Hydrology (Elsevier 국제학술지) 부편집장
- 2012. ~ 2015. 중국지질대학 수자원 및 환경학부 겸직교수
- 2011. ~ 2012. 환경부-중앙환경정책자문회의 위원
- 2006. ~ 2013. 국립군산대학교 BK21지반환경통합관리핵심인력양성사업팀장
- 2004. ~ 2005. 미국 Oak Ridge 국립연구소 방문학자
- 2003. ~ 2005. 대통령자문지속가능발전위원회 물분과 전문위원
- 1997. ~ 1998.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책임연구원
수상경력
- 2005년 국립군산대학교 올해의 공대인 상
- 2009년 국립군산대학교 황룡학술상
- 2009년 대한지질학회 학술상
- 2016년 환경부장관 표창
- 2016년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제26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 2019년 (사)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제32회 우수학술논문상
- 2021년 국립농업과학원장상(공로상)
- 2021년 국립군산대학교 우수강의콘텐츠상
주요 연구실적
- 주요연구사업
- 농업부산물을 이용한 농어촌형 저영향개발(LID) 시설 개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림축산식품부
- 메콩델타 주변 퇴적 대수층의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지구화학적 연구. 한국연구재단
- 좋은물 유망지의 수질 영향・결정 인자 정량화 평가기법 개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주요연구논문
- 2019. A hydrogeological and geochemical review of groundwater issues in southern Vietnam. Geosciences Journal 23, 1005-1023.
- 2019. Occurrence of metal-rich acidic groundwaters around the Mekong Delta (Vietnam) : A phenomenon linked to well installatio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54, 1100-1109.
- 2017. Study of detailed geochemistry of hazardous elements in weathered coal ashes. Fuel 193, 343-350.
- 2016. Managing Groundwater Nitrate Contamination from Livestock Farms : Implication for Nitrate Management Guidelines. Current Pollution Reports 2, 178-187.
- 2012. Co-contamination of arsenic and fluoride in the groundwater of unconsolidated aquifers under reducing environments. Chemosphere 87, 851-856.

정승우(Jeong, Seung woo)
- 직위교수
- 최종학력Texas A&M University (박사)
- 전공환경복원 (Environmental restoration)
- 전화063-469-4767
- 이메일swjeong@kunsan.ac.kr
정승우(Jeong, Seung woo)
주요연구주제
- 오염토양 정화
- 거품의 환경공학 응용 기술
- 악취저감기술
주요 경력
- 2021. ~ 현재 ㈜거품환경기술 대표이사
- 2021. ~ 현재 환경부 환경영향평가 전문가 자문단
- 2018. ~ 현재 토양오염 위해성평가 검증위원회 위원
- 2018. ~ 현재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에너지환경분야 PM
- 2020. ~ 2024. 국립군산대학교 발전지원재단 이사
- 2018. ~ 2023. 대한환경공학회 부회장
- 2020. ~ 2021. 국립군산대학교 학생처장
- 2019. ~ 2020. 국무조정실 김해신공항 검증위원회 위원
수상경력
- 2021년 대한환경공학회 학술상
- 2020년 한국과학기술단체 총연합회 제30회 과학기술우수논문상
- 2020년 국립군산대학교 올해의 공대인 상
- 2017년 황룡상(국립군산대 산학협력 우수상)
- 2016년 대한환경공학회 공로상
- 2015년 한국지하수토양학회 우수학술논문발표상
- 2003년 환경부 장관 표창
주요 연구실적
- 주요연구사업
- 반응성 거품 2D 살포에 의한 3D 불포화토양의 투수성 향상 및 유기오염물질 제거 연구. 한국연구재단
- 부지(오염)특성 시나리오별 안전화(Stabililzation)/고형화(Solidification) 부지 최적 모니터링 기술.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물질의 환경 노출평가. 한국연구재단
- 악취분해 세균을 탑재한 거품을 이용한 돈사 및 돈분장 악취제거, 주민공감 현장문제 해결사업. 과기정통·행정안전부·한국연구재단
- 주요연구논문
- 2021. Degradation of petroleum hydrocarbons in soil via advanced oxidation process using peroxymonosulfate activated by nanoscale zero-valent iron. Chemosphere 270, 128627.
- 2021. Leaching potential of chemical species from real perovskite and silicon solar cells.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149, 115-122.
- 2021. Pretreatment of diesel-contaminated hydrophobic soil using surfactant and sodium hexa-metaphosphate (Na-HMP) to improve infiltration of aqueous phase remedial agents in unsaturated soil. Journal of Soils and Sediments 21, 948-956.
- 2020. Biodegradation and post-oxidation of fuel-weathered field soil.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734, 139452.
- 2020. Combined effects of soil particle size with washing time and soil-to-water ratio on removal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 from fuel contaminated soil. Chemosphere 250, 126206.
- 저서
- 토양복원공학(4판), 동화기술.
- 토양복원공학(3판), 동화기술.

신재돈(Jaedon Shin)
- 직위조교수
- 최종학력광주과학기술원(GIST) (박사)
- 전공수처리공학 (Water treatment engineering)
- 전화063-469-4762
- 이메일 jshin@kunsan.ac.kr
신재돈(Shin, Jae Don)
주요연구주제
- 산화수처리/소독 (Oxidation and disinfection processes)
- 고도하수처리/물재이용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and water reuse)
- 수중 오염물질의 거동 (Fate of contaminants in urban water quality engineering)
주요 경력
- 2023.05 ~ 현재 군산시청 새만금 발전협의회 위원
- 2023.01 ~ 현재 새만금개발공사 일반기술심의위원회 위원
- 2022.09 ~ 현재 한국환경공단 기술자문위원회 및 민자평가위원회 위원
- 2022.07 ~ 현재 군산시 재해영향평가심의 위원회 위원
- 2022.04 ~ 현재 ICES 학술위원회 위원
- 2022.01 ~ 현재 대한환경공학회 기획위원회 위원
- 2021.09 ~ 현재 전북지방환경청 환경영향심사위원회 위원
- 2018.10 ~ 2021.08 스위스 EPFL 박사후 연구원
- 2018.03 ~ 2018.09 광주과학기술원 박사후 연구원
- 2016.02 ~ 2016.05 호주 Curtin 대학교 방문 연구원
수상경력
- 2018년 광주과학기술원 우수연구상 수상
주요 연구실적
- 주요연구사업
- 중공사막 오존 접촉 기반 신개념 부산물 최소화 고도산화 수처리 기술 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 유해 산화 부산물 생성 최소화를 위한 페레이트(VI)-오존 복합공정 개발.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 주요연구논문
- 2022. Nitriles as main products from the oxidation of primary amines by ferrate(VI): Kinetics, mechanisms and toxicological implications for nitrogenous disinfection byproduct control, Water Research, 209, 117881
- 2022. Elimination efficiency of synthetic musks during the treatment of drinking water with ozonation and UV-based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844, 156915
- 2020. Kinetics of the reaction between hydrogen peroxide and aqueous iodine: Implications for technical and natural aquatic systems. Water Research, 179, 115852.
- 2019. Elimination efficiency of organic UV filters during ozonation and UV/H2O2 treatment of drinking water and wastewater effluent. Chemosphere, 230, 248-257.
- 2018. Reactions of ferrate(VI) with iodide and hypoiodous acid: kinetics, pathways, and implications for the fate of iodine during water treatment.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52, 7458-7467.
- 2018. Oxidation kinetics of algal-derived taste and odor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with ferrate(VI).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334, 1065-1073.
- 2016. Influence of Seasonal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 and Dissolved Organic Matter on Ozone and OH Radical Reaction Kinetics During Ozonation of a Lake Water. Ozone: Science & Engineering, 38, 100-114.

정주형(Ju-Hyeong Jung)
- 직 위조교수
- 최종학력연세대학교(박사)
- 전 공폐기물관리(Waste Management)
- 전 화063-469-1873
- 이메일jhjung@kunsan.ac.kr
정주형(Ju-Hyeong Jung)
주요연구주제
-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
- 혐기성 미생물 공정
- 바이오에너지
주요 경력
- 2015.07~2018.07 ㈜한국종합엔지니어링, 기술연구소
- 2022.03~2023.03 SK에코플랜트(주), Eco Lab Center
수상경력
- 2022.03. BK21 우수논문상 수상
- 2021.03. 연세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최우수논문상 수상
- 2020.11. 환경공단 이사장상 수상 (폐자원에너지화 우수성과)
주요 연구실적
- 주요연구논문
- 2023. Form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2-producing granule in a pilot-scale dynamic membrane bioreactor,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452, 139-384.
- 2022. Biohydrogen and biomethane production from food waste using a two-stage dynamic membrane bioreactor (DMBR) system. Bioresource Technology, 352, 127-094.
- 2022. Effect of bioaugmentation using Clostridium butyricum on the start-up and the performance of continuous biohydrogen production. Bioresource Technology, 366, 128-181.
- 2022. High-rate biohydrogen production from xylose using a dynamic membrane bioreactor. Bioresource Technology, 344, 126-205.
- 2021. Dynamic membrane bioreactor for high rate continuous biohydrogen production from algal biomass. Bioresource Technology, 340, 125-562.
- 2021. Novel dynamic membrane, metabolic flux balance and PICRUSt analysis for high-rate biohydrogen production at various substrate concentrations.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420, 127-625.
- 2021. Effect of genus Clostridium abundance on mixed-culture fermentation converting food waste into biohydrogen. Bioresource Technology, 342, 125-942.
- 2021. High-rate mesophilic hydrogen production from food waste using hybrid immobilized microbiome. Bioresource Technology, 320, 124-279.
- 2020. Effect of shear velocity on dark fermentation for biohydrogen production using dynamic membrane, Bioresource Technology, 308, 135-265

김은혜(Eunhye Kim)
- 직위조교수
- 최종학력아주대학교(박사)
- 전공대기질관리(Air quality management)
- 전화063-469-4765
- 이메일 ekim@kunsan.ac.kr
김은혜(Eunhye Kim)
주요연구주제
- 대기오염 원인 규명
- 대기오염물질의 거동
- 대기질 관리 정책 효과 분석
주요 경력
- 2022.09.~2024.09. 아주대학교 연구교수
- 2023.03.~2024.02. 미국 Emory University 방문연구원
- 2021.10.~2022.08. 국가미세먼지정보센터 전문연구원
수상경력
- 2022. 10. 한국대기환경학회, 우수발표논문상
- 2020. 10. 한국대기환경학회, 우수논문상
- 2018. 10. 한국대기환경학회, 우수발표논문상
- 2017 10. CMAS, Best Poster Award
- 2017 10. NASA Group Achievement Award to KORUS-AQ
- 2016. 12. 환경부, 장관 표창
- 2016. 10. 한국대기환경학회, 우수발표논문상
- 2015. 10. 한국대기환경학회, 우수발표논문상
주요 연구실적
- ⓵ 주요연구논문
- 2024. North Korean CO emissions reconstruction using DMZ ground observations, TROPOMI space-borne data, and the CMAQ air quality model.
- 2024. Development of surface observation-based two-step emissions adjustment and its application on CO, NOx, and SO2 emissions in China and South Korea.
- 2024. Impact of ozonation on the formation of particulate nitrosodi-methylamine (NDMA) in atmosphere
- 2024. Role of air stagnation in determining daily average PM2.5 concentrations in areas with significant impact of long-range transport
- 2024. Adjusting Chinese Elemental Carbon Emissions and Estimating their Impacts on Ambient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 2024. Assessment of Provincial Air Quality based on Air Quality Index during 2016~2022
- 2024. Changes in Domestic Emissions Impact on Provincial PM2.5 and NO2 Concentrations during the 1st to 4th Seasonal PM Management Periods
- 2023. Role of Vertical Advection and Diffusion in Long-range PM2.5 Transport in Northeast Asia
- 2023. A multifaceted approach to explain short-and long-term PM2. 5 concentration changes in Northeast Asia in the month of January during 2016–2021.
- 2022. Contribution of liquid water content enhancing aqueous phase reaction forming ambient particulate nitrosamines
- 2022. Municipality-Level Source Apportionment of PM2.5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APSS 2016: (IX) Gyeongsangbuk-do.
- 2021. Sensitivity of fin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to regional ammonia emissions in Northeast Asia.
- 2021. Direct and cross impacts of upwind emission control on downwind PM2. 5 under various NH3 conditions in Northeast Asia.
- 2021. Contributions of Ammonia to High Concentrations of PM2. 5 in an Urban Area.
- 2021. Quantitative assessment of changes in surfac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and precursor emissions over Chin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heir implications for Chinese economic activity.
- 2021. Particulate Nitrosamines and Nitramines in Seoul and Their Major Sources: Primary Emission versus Secondary Formation.
- 2021. Multi-model intercomparisons of air quality simulations for the KORUS-AQ campaign
- 2021. Local Authority-Level Source Apportionments of PM2.5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APSS 2016: (VIII) Busan and Gyeongnam.
- 2021. Identifying the Drivers of PM2.5 Concentration Changes between December 2019 and December 2020 in South Korea.
- 2021. Prioritizing Local Authorities Effective to Lower the Nationwide PM2.5 Concentrations and the Personal Exposure Based on the Source Apportionment with the CAPSS 2016 Emissions Inventory.
- 2021. Local Authority Level Source Apportionments of PM2.5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APSS 2016: (VII) Seoul.
- 2021. Municipality-Level Source Apportionment of PM2.5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APSS 2016: (VI) Chungcheongbuk-do.
- 2021. Municipality-Level Source Apportionment of PM2.5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APSS 2016: (V) Ulsan.
- 2021. Municipality-Level Source Apportionment of PM2.5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APSS 2016: (IV) Jeollabuk-do.
- 2021. Municipality-Level Source Apportionment of PM2.5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APSS 2016: (IV) Jeollanam-do.
- 2021. Source Sectoral Impacts on Provincial PM2.5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APSS 2016 using the CMAQ Model.
- 2021. Impact of Diesel Vehicle Emissions on PM2.5 Concentrations in Seoul Metropolitan Area during the Seasonal PM2.5 Management.
- 2021. Municipality-Level Source Apportionment of PM2.5 Concentrations based on the CAPSS 2016: (II) Incheon.
- 2020. The impacts of COVID-19, meteorology, and emission control policies on PM 2.5 drops in Northeast Asia.
- 2020. Winter-time particulate nitrosamines and nitramines in the atmosphere at Seoul, South Korea
- 2019. PM2.5 Simulations fo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VI) Estimating Influence of Sectoral Emissions from Chungcheongnam-do.
- 2018.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Emission Control Measures to Improve PM2.5 Concentration in South Korea.
- 2017. Spatially and chemically resolved source apportionment analysis: Case study of high particulate matter event.
- 2017. Regional contributions to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outh Korea: seasonal variation and sensitivity to meteorology and emissions inventory.
- 2017. The variability of ozone sensitivity to anthropogenic emissions with biogenic emissions modeled by MEGAN and BEIS3.
- 2017. Domestic Ozone Sensitivity to Chinese Emissions Inventories: A Comparison between MICS-Asia 2010 and INTEX-B 2006 INTEX-B 2006.
- 2017. Impact of Emission Inventory Choices on PM10 Forecast Accuracy and Contribu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2016. Characteristics of total gaseous mercury (TGM) concentrations in an industrial complex in South Korea: impacts from local sources.
- 2016. Synoptic perspectives on pollutant transport patterns observed by satellites over East Asia: Case studies with a conceptual model.
- 2016. Comparison of CMAQ Ozone Simulations with Two Chemical Mechanisms (SAPRC99 and CB05)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 2016. Spatial Distribution of Air Pollution in the Ulsan Metropolitan Region.
명예교수

조웅현(Cho, woong hyun)

정병곤(Jeong, Byung gon)

김득수(Kim, Deug soo)

차왕석(Cha, Wang seog)

황갑수(Hwang, Gab soo)

유선재(You, Sun 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