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AM 2024
-
-
Member : Keon-Mo, Koo
Project : Building up cyclic voltammetry using Keithley SMU
(Keithley 전원모듈을 이용한 순환 전압전류 측정장치)
There is an unused Keithley 2400 on the shelf of laboratory. He decided to use it in setting up the CV system instead of purchasing commercial all-in-one system (Keithley 2460EC etc.). The system will be controlled via GPIB and LabVIEW. For testing, a potassium ferricyanide electrochemical cell will be built up. This is now on-going.
TEAM 2022
-
-
Member : Sang Eun, Oh
Project : Van Der Pauw measurement using LabVIEW and GPIB
(LabVIEW와 GPIB를 이용한 Van Der Pauw 측정 장치)
She successfully established a resistivity measurement system employing general instruments such as Keithley DMM, currnet source, relay switch and LakeShore temperature controller. The system was controlled through GPIB and LabVIEW. (Video in video materials page) For this, she has mastered LabVIEW programming just in a semester. She now goes up to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for her graduate study.
TEAM 2018
-
-
Member : 구현모, 이준희, 정우일, 송성석, 조수빈
Project : Implimentation of Phase Array Radar using LabVIEW and DAQ
(LabVIEW와 DAQ를 이용한 위상배열레이더의 구현)
현대 레이더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위상배열레이더(Phase Array Radar)의 원리를 LabVIEW와 데이터수집(DAQ)보드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리플탱크 속에 압축공기를 32개의 밸브롤 통해 순차적으로 단속하여 수면 위로 퍼져나오는 구형파를 중첩시켜 평면파로 만들었다. 노즐 사이의 간격과 각 밸브 사이의 타이밍을 LabVIEW와 DAQ장치로 조절하여 수면 평면파의 진행방향을 제어해 보았다.
이 장치는 2017년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가을 물리학회 학부생 작품발표회에 출품하여 최우수상(전국 1등)을 수상했다.
TEAM 2013
-
-
Members : 편해욱, 김은철, 김종인
Project : Detection of radiation using high voltage gas discharging tube
(기체방전관을 이용한 방사선 검출기의 제작)
기체방전관에 500V 정도의 고전압을 걸어주고 방사선을 쪼이면 방전관 내부의 기체가 순간적으로 전리되어 외부회로로 짧은 전압펄스가 나온다. 이를 전자공학적 방법으로 검출하는 회로를 만들고 베타, 감마선을 직접 검출해 보았다. 이 장치는 2013년 창원에서 열린 가을 물리학회 학부생 작품발표회에 출품하여 최우수상(전국 1등)을 수상했다.
이들은 Arduino 프로그래밍에 관한 랩스터디에도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해욱이는 군산 플라즈마 연구센터, 은철이는 (주)ASK, 종인이는 연세대학교 물리학과 대학원으로 진학했다.
TEAM 2010
-
-
Members : 최윤정, 조주미, 최설아
Project : Measurement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using PC-interfacing
(컴퓨터와 LabVIEW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장치)
물체가 특정 거리를 이동하는 동안 1 ms 기준펄스를 카운트하는 방법으로 시간을 측정하고 이를 매 순간 고속으로 PC에 전송하여 자유낙하하는 물체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실험장치를 만들어 보았다. 이를 2010년 가을 물리학회 학부생 작품발표회에 출품하여 우수상을 받았다.
이들은 또 연구실에서 공침법을 이용한 자성 나노입자 Fe3O4의 합성 실험도 수행하여 보았다.
설아는 서강대학교, 주미는 성균관대학교 물리학과 대학원으로 진학했다.
Alumni
-
-
Jong Yong, Chung, MSc.
Thesis : Mossbauer Study of SrFeO2.5
연구실 학생 중 처음으로 액체헬륨을 이용한 초전도 자석/Cryostat 으로 6T의 외부 자기장 실험을 같이 했다. 액체헬륨은 가격이 비싼데다가 잘못 취급하면 소모가 너무 심해 여간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되었고, 때로는 드라이버나 니퍼같은 공구가 초전도 자석에 들러붙어 애를 먹었다.
왼쪽 사진은 액체질소로 Dewar 를 Pre-Cooling 하고 헬륨기체로 밀어 다시 빼내는 모습.
-
-
Juil, Yang, MSc.
Thesis : Mossbauer Study of Ca1-xSrxFeO2.5 (x=0.0, 0.3, 0.5)
성실한 연구실 생활 이외에도, 학부시절부터 전자회로와 컴퓨터 인터페이싱에 특히 관심이 많아 조교로서 재학생 지도에 큰 힘을 보탰다. 연구실에서 밤새기를 밥먹듯 했다.
왼쪽 사진은 밤새 실험한 어느 일요일 아침, 데이터를 받는 모습.
-
-
Seung Jin, Choi, MSc
Thesis : Mossbauer study of LaFe1-xGaxO4
As a physicist, he had good command of programming language (c-language) and was very good at electronics and PC-interfacing as well, which made him helpful in assisting undergraduate students carrying out lab experiments. Most of all, he contributed much in installing new Mossbauer spectrometer system in this labora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