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시대

군산이 대한제국의 칙령에 의해 개항된 것은 1899년 5월 1일의 일이다. 개항과 동시에 한국정부는 옥구감리서 및 인천세관 관할의 군산세관을 설치하여 행정사무를 개시하였다. 이후 1906년 정부관제 개편으로 감리서가 폐지됨과 동시에 옥구군이 옥구부로 개편되었는데 이때 군산항만시설 확장을 위하여 강안(江岸)을 매축(埋築)하고 고정(固定) 기교(機橋) 1기를 설치함으로서 비로소 근대적인 항구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한일합방 직후인 1910년 9월에는 조선총독부 지방관제가 발포되어 옥구부와 군산부가 개편되었다.

그해 10월 1일 군산부청이 설치되면서 활기를 띠게 된 군산항은 이후 호남철도와 전주-군산간의 도로가 개통되면서 바다와 육지를 연결하는 편리한 항구로써 급격한 발전을 하게 되었다. 비옥한 토지에 자리잡고 있는 군산에 개항 초부터 일본인들이 앞다투어 진출하여 농장을 형성, 확대해 나갔던 만큼 군산항은 쌀의 수출항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따라서 1920년대에는 한국의 전체 쌀 수출량의 20% 이상을 군산항에서 실어갔으며 1937년 중일전쟁 이후 한국이 병참기지가 되고 부터는 쌀의 집산지인 군산지역은 다른 지역보다도 공출이 더 심하였다.

채만식과 탁류 그리고 1920년대 말 군산항 쌀 선적 모습
[채만식과 탁류 그리고 1920년대 말 군산항 쌀 선적 모습]

이렇듯 다른 지역에 비해 일본인 거주자의 수도 많고, 수탈의 강도도 높았던 군산이었기에 일인에 대한 저항의식도 그만큼 강하게 나타났다. 1919년 3월 5일 개정면 구암리 영명학교의 교사,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만세운동을 일으킨 이후 군산지역에서는 계속적으로 항일운동이 일어났다. 특히 군산항이 발달함에 따라 노동자 수가 증가하면서 정미소의 미선공이나 부두 노동자들의 노동쟁의를 비롯하여 일본인 농장주들의 과중한 소작료 납부요구에 대한 소작농들의 항쟁(1927년 옥구군 서수면 이엽사농장)등이 자주 일어나게 되었다.

이 밖에도 빼 놓을 수 없는 것은 1937년에 발표된 백릉(白凌) 채만식(蔡萬植)의 탁류(濁流)로, 이 소설에는 미두장(米豆場)을 배경으로 1930년대 군산의 사회상과 생활상이 잘 담겨져 있다. 우리나라 수리조합 설치의 시초로 속칭 '쌀밑방죽'으로 불리고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된 점에서 그 축조시기는 조선초엽 이전으로 추정되며, 군산지역 농업의 젖줄 역할을 한 대규모 저수지이다.

공공누리KOGL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
박물관 에서 제작한 "근대시대" 저작물은 "공공누리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 허락표시 적용 안함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박물관
  • 담당자 : 유수빈
  • 연락처 : 063-469-4192
  • 최종수정일 : 2017-08-17
국립군산대학교 근대시대 이동 QR코드
페이지만족도평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