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커뮤니케이션(Science Communication)
참여전공
수여학위
전공개요
과학기술 혁신으로 사회 변화가 가속화되면서 과학대중화를 넘어서 과학기술 문화의 중요성이 갈수록 중요해짐. 미래 과학기술 발전과 대중의 과학 이해도 증진을 위해서 과학 소양 함양을 돕고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과학기술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확대되어야 함. 국민들의 높아진 문화 수준과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에 부응하여 청소년, 성인, 시니어, 이주민 등 다양한 계층과 배경의 사람들이 과학기술 문화를 누리게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 과학기술커뮤니케이션 전공은 과학과 문화를 결합하여 융합 전문가를 키울 수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하고자 함.
관련 자격증
- 과학해설사, 창의과학교육지도사, 창의학습지도사
취업처
- 한국과학창의재단, 대전과학산업진흥원 등의 공공기관, 동아사이언스, 대덕넷, 카오스 공익재단 등의 출판교육언론 분야, 시공테크, KBS아트비전 등 전시컨텐츠 기업, 국립 및 민간 과학관, 국립 및 민간 박물관, 과학커뮤니케이터로 스타트업 창업 혹은 크리에이터 활동 등
교과과정
참여교수 현황
구분, 소속학과, 성명, 연구실번호의 정보제공 하는 참여교수 현황 표
구분 |
소속학과 |
성명 |
연구실번호 |
책임교수 | 자율전공학부 | 이종민 | 063-469-4326 |
참여교수 | 교육혁신처 | 박혜영 | 063-469-4938 |
참여교수 | 자율전공학부 | 김석호 | 063-469-4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