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패션비즈니스 (Digital Fashion Business)
참여전공
- 의류학, 소프트웨어학
수여학위
- 디지털패션비즈니스학사(Bachelor of Digital Fashion Business)
전공개요
‣ 기술 발전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인한 패션 산업의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창의적 전문성과 기술적 전문성을 모두 갖춘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전통적인 패션 교육은 디자인과 창의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전자상거래, 가상 패션 경험, 디지털 마케팅의 증가로 인해 패션 브랜드의 비즈니스 방식이 재편되면서, 패션 도메인 지식 뿐 아니라 IT 활용 역량, IT 커뮤니케이션 역량이 필수적이 되었다. 이에 본 과정에서는 코딩, 데이터 기반 마케팅, 앱/웹 개발과 같은 디지털 기술과 융합할 수 있는 IT적 사고와 스킬을 학습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패션 비즈니스의 주요 영역에 걸쳐 포괄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여 빠르게 발전하는 산업에서 성공하는 데 필요한 디지털 도구 및 비즈니스 전략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
‣ 패션 산업은 기술 발전과 소비자 행동 변화로 인해 광범위한 디지털 변혁을 겪고 있다. 이러한 발전으로 인해 창의적 전문성과 기술력을 모두 갖춘 전문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인 패션 교육은 디자인과 창의성을 강조하고 있지만, 전자상거래, 가상 패션 경험, 디지털 마케팅의 등장으로 비즈니스 환경은 근본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도메인별 패션 지식 이외에도 IT 도구 및 개발자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전문 지식은 이 역동적인 산업을 탐색하고 성장하는데 필수적이다.
‣ 이 과정은 학생들이 패션과 디지털 기술을 통합하는 데 필요한 IT 기반 사고와 기술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고안된 포괄적인 커리큘럼을 제공한다. 학생들은 코딩, 데이터 기반 마케팅, 앱/웹 개발을 배우게 될 것이다. 창의성과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IT 개발 모듈이 혼합된 이 과정은 참가자들이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패션 세계에서 성공하기 위해 디지털 도구와 비즈니스 전략을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전체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한다.
교육목표
디지털 패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과정은 창의적인 패션디자인과 코딩, 데이터 기반 마케팅, 앱/웹 개발 등의 기술을 결합하여 학생들에게 학제간 전문 지식을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생들은 IT 기반 솔루션을 적용하여 패션 도메인을 3D 디자인, 전자상거래 플랫폼, 가상 패션 경험 등 디지털 기술과 통합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구체적으로 파이썬 등 데이터 분석 및 오픈 소스 도구를 사용하여 효과적인 디지털 마케팅 전략을 만들고, 디지털 기반 새로운 제품/서비스를 구현하는 능력을 개발할 것이다. 이를 통해,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 환경에 적응하고 유연성, 지속 가능성 및 기업가적 사고를 획득하게 될 것이다.
- 산업 수요에 맞는 미래형 인재양성
- 창의적이고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 가능
- 학제 간 융합을 통한 교육 혁신
관련 자격증
-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패션스타일리스트, GTQ,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유통관리사, 샵마스터, 컬러리스트산업기사 등
취업처
- 패션브랜드, 패션유통전문회사, 패션벤더, 모델리스트
- 3D버추얼디자인, 패션VMD, 패션MD
- 패션빅데이터분석가, 패션콘텐츠디렉서 등
교과과정
학기 | 이수 구분 | 학수번호 | 교과목명 | 학점,이론,실습 | 담당교원 |
---|---|---|---|---|---|
1 | 전선 | 117103 | AI와공부하는패션역사 (Studying Fashion History with AI) | 3-3-0 | 정연희 |
1 | 전선 | 117320 | 패션데이터의이해및실습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Fashion Data) | 3-3-0 | 김하연/정현준 |
1 | 전선 | 117102 | 패션코딩 (Fashion Coding) | 3-2-2 | 장세윤 |
1 | 전필 | 117109 | SNS콘텐츠마케팅 (SNS Content Marketing) | 3-3-0 | 김하연 |
1 | 전선 | 116050 | 기초웹프로그래밍 (Basic Web Programming) | 3-2-2 | 김장원 |
1 | 전선 | 117117 | 패션e비지니스 (Fashion e-Business) | 3-2-2 | 장세윤 |
1 | 전선 | 117322 | 사물인터넷프로그램실습과의류 (Internet of Things Programming and Wearables) | 3-2-2 | 정현준 |
1 | 전선 | 116378 | 소프트웨어공학과DevOps (Software Engineering and DevOps) | 3-3-0 | 김장원 |
1 | 전선 | 116382 | IoT기반모바일DevOps (IoT based Mobile DevOps) | 3-2-2 | 이석훈 |
2 | 전선 | 117323 | 생성형AI와디지털드로잉 (GenAland Digital Drawing) | 3-2-2 | 이현영 |
2 | 전선 | 117112 | 3D버추얼패션 (3D Virtual Fashion) | 3-2-2 | 정연희 |
2 | 전선 | 117116 | 3D그레이딩&마킹 (3D Grading & Marking) | 3-2-2 | 정연희 |
2 | 전선 | 117107 | 패션빅데이터마이닝 (Fashion Bigdata Mining) | 3-2-2 | 장세윤 |
2 | 전선 | 117106 | 패션마케팅커뮤니케이션 (Fashion Marketing Communication) | 3-2-2 | 김하연 |
2 | 전선 | 117113 | 패션리테일링과비주얼머천다이징 (Fashion Retailing and Visual Merchandising) | 3-2-2 | 김하연 |
2 | 전선 | 109620 | 캡스톤디자인 (Capstone Design) | 3-2-2 | 김하연 |
2 | 전선 | 116052 | 고급웹프로그래밍 (Advanced Web Programming) | 3-2-2 | 김장원 |
2 | 전선 | 117326 | 패션웹/앱서비스기획 (Planning for Fashion Web and Web Services) | 3-3-0 | 장세윤 |
2 | 전선 | 116377 | DevOps기반데이터베이스프로젝트 (DevOps based Database Project) | 3-2-2 | 정동원 |
참여교수 현황
구분 | 소속학과 | 성명 | 연구실번호 |
---|---|---|---|
책임교수 | 의류학부 | 김하연 | 063-469-4663 |
참여교수 | 의류학부 | 이현영 | 063-469-4662 |
참여교수 | 의류학부 | 정연희 | 063-469-4665 |
참여교수 | 의류학부 | 장세윤 | 063-469-4664 |
참여교수 | 소프트웨어학과 | 정현준 | 063-469-8917 |
참여교수 | 소프트웨어학과 | 이석훈 | 063-469-8914 |
참여교수 | 소프트웨어학과 | 정동원 | 063-469-8912 |
참여교수 | 소프트웨어학과 | 김장원 | 063-469-8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