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말
Vision2020 새만금거점의 특성화대학"
“교육부 BK21 PLUS 친환경 새만금 인프라 개발 글로벌 인재 양성” 선정!
“교육부 BK21 PLUS 글로컬 지반환경공학연구” 선정!
- 국립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홈페이지를 방문하신 여러분! 환영합니다.
- 식품공학은 화학, 생물, 물리적 현상의 해석 및 공학적 응용을 바탕으로 고부가 식품소재의 개발, 식품의 가공적성 및 기능성 향상,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지식을 배우고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생명공학(BT)의 발전과 함께 국내외 많은 대학이 기존 식품공학의 교과 과정에 생명공학 관련 교과 과정을 추가하여 학과명을 식품공학과에서 식품생명공학과로 변화하는 추세입니다.
- 국립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는 50년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학과로 많은 졸업생들을 배출하였으며 식품업계 및 공무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습니다. 식품생명공학과 교수들은 시대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우수한 인력 배출에 교육 목표를 두고 연구와 교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 식품생명공학과 교수 일동
개요
전공소개
- 식품생명공학는 시대요구에 따라 식품공학전공과 생명공학기술을 응용한 융합전공이다. 식품공학은 화학, 생물을 기초로 하여 식품의 이화학적 특성 및 물리적 현상을 공학적으로 해석하고, 고부가가치의 식품소재 및 제품개발, 생물신소재개발 및 기능성 향상,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지식을 배우고 연구하는 학문이며, 기존 식품공학의 교과과정에 생명공학관련 학문인 분자생물학, 생명공학, 생명공학이론을 부가하여, 식량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가공, 저장기술, 식품안전성확보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 식품의 연구 및 개발에 대하여 교수한다.
- 식품생명공학과의 교육연구 시설은 이 분야의 연구개발 및 산업계 종사하는 전문인력약성을 위하여 식품위생학실험실, 식품생화학실험실, 식품가공학실험실, 식품공학실험실, 식품생물공학실험실, 식품화학실험실과 식품가공실습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목표
식품생명공학과에서는 식품공학과 생명공학 지식을 융합한 창의적인 실무형 전문인재 양성이 주 목표이며, 세부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생명공학 관련 업무 수행 및 연구를 위한 기초능력배양

- 둘째, 식품생명공학 관련 전문 지식 습득을 통한 종합적 사고 및 응용능력 배양

- 셋째, 식품생명공학관련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 식품분야의 창의적인 실무인재 양성

진로체계
식품생명공학과에서는 식품기사, 수산제조기사, 위생사, 농수산물품질관리사 등의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다. 졸업 후 진로방향은 아래와 같다.- 산업체
- 식품 및 수산관련 산업체(생산·품질관리, 포장·저장·냉동·유통관련, 연구·개발)
- 공공기관
- 일반직·수산직 공무원(7~9급), 연구직공무원, 식품위생감시원 등
- 연구소
- 국공립기관연구소, 식품연구원, 수산과학원, 농촌진흥청 등
- 진학
- 대학원진학(학·석사 연계, 석·박사 과정), 유학 등
연혁
년도 | 내용 |
---|---|
2015. 03. | 식품생명공학과에서 식품생명과학부 식품생명공학전공으로 명칭 변경 |
2005. 03. | 식품공학과에서 식품생명공학과로 명칭 변경 |
2001. 03. | 대학원(박사과정)설치 |
1999. 03. | 수산가공학과에서 식품공학과로 명칭 변경 |
1995. 10. 18 | 대학원(석사과정)설치 |
1991. 10. 31 | 국립군산대학교 수산대학 수산가공학과 |
1979. 03. 01 | 국립군산수산전문대학 수산가공과 |
1962. 04. 10 | 전라북도 도립 군산수산초급대학으로 개교 |
위치 및 연락처
학과사무실 및 직원안내
- 위치 : 해양과학대학 2호관 3층 식품생명공학과
- 전화 : 063-469-1821 (Fax : 469-7448)
- 업무시간 : 평일 09:00 ~ 18:00, 점심시간(12:00~13:00)